탄허학 연구(조계학술총서3)
[ 차례 ]
추천사 | ‘탄허학’이라는 청천벽력 같은 타이틀 _ 무비 스님
머리말 | ‘탄허학 ’의 출발점에 서서
제1장 | 탄허학의 골수骨髓와 종지宗旨
- 탄허학의 21세기적 의미
- 탄허학의 체體
1) 무애無碍와 회통會通
— 화엄의 사사무애事事無碍 사상
— 유불선儒佛仙 삼교三敎 회통 사상
2) 향상向上과 귀일歸
— 제일구第一句로의 향상일로向上一路
— 회교귀선會敎歸禪의 경허‐한암 선풍의 완성
- 탄허학의 용用
1) 교육 사업과 역경譯經 불사佛事
— 인재 양성의 일승 보살행
— 한국적 역경譯經
— 서문序文에 담은 골수 법문과 대중 강설의 사자후
2) 간산사상艮山思想과 민족 불교
— 탄허의 역학 사상에 나타난 우환憂患 의식
— 중국역中國易에서 한국역韓國易으로 축의 전환
— 탄허 미래학의 특질과 상징
- 한국학의 새로운 지평으로서의 탄허학
제2장 | 탄허택성과 동양사상
- 탄허의 동양학 종요宗要
- 유교의 《주역》과 삼교 회통
1) 《주역》의 종지宗旨 재해석
2) 역학易學의 확장과 선역禪易 회통
- 도교의 《노자》 《장자》와 삼교 원융
1) 《노자》 선주選注의 중점
2) 《장자》 역해譯解의 특징: 적극적 주해注解
- 탄허와 한국 불 교의 정체성
제3장 | 탄허선사의 선사상禪思想 연구
- 탄허의 역경관譯經觀과 수행관修行觀
- 선사禪師로서의 정체성과 선관禪觀
- 선체교용禪體敎用의 역경 불사
1) 종지宗旨 중시와 선禪 중심의 역경 원칙
2) 사교입선捨敎入禪에서 선체교용禪體敎用으로
- 일미원융一味圓融과 향상선向上禪
1) 간화看話와 관법觀法의 무우열론無優劣論
2) 《서장書狀》 사기私記와 향상일로向上一路
- 탄허선呑虛禪의 열린 지평과 구경처究竟處
제4장 | 현대 한국 선사상禪思想의 두 지평
- 성철과 탄허라는 코드
- 성철 선사상禪思想의 철徹적 가풍
1) 돈오돈수와 태고 법통설
2) 간화독존론看話獨尊論과 숙면일여
3) 돈점 논쟁과 돈수설을 주창한 선사들
- 탄허 선사상禪思想의 탄呑적 가풍
1) 돈오점수와 보조 종조론
2) 근기수행론根機修行論과 회통선會通禪
3) 보조 후신 한암설
- 중도적 회통
제5장 | 탄허택성의 경세학과 요익행
- 유교적 정치 이상과 불교의 회통
- 동양의 정치 이상과 경세학經世學
1) 유교의 정치사상과 이상
2) 적극적 현실 참여와 지기知幾
- 국사國師 역할의 자임과 요익행饒益行
1) 역대 대통령과의 인연과 자문
2) 정신 수도 계룡산과 후천 세계 준비
- 현재 완료 진행형인 탄허의 일갈
- 탄허의 선각先覺과 예지력
제6장 | 탄허의 관점에서 본 화엄학과 정역학의 만남
- 한국불교학의 새 로운 지평
- 탄허학의 모색과 향후 연구과제
- 화엄학華嚴學과 정역학正易學의 만남
1) <일승법계도>와 <64괘 방위도>의 비교
2) 탄허의 불방불기北方佛紀 사용
3) 화엄학과 정역학의 십수十數
4) 《정역》의 ‘천지경위天地傾危 2800년’
- 물학物學에서 심학心學으로, 실학實學에서 허학虛學으로
제7장 | 《화엄경》 <입법계품>의 미륵과 한국불교
- 거두去頭:연기緣起
- 입정탄지入定彈指
1) 덕생 동자와 유덕 동녀의 상징
2) 여래 출현과 여래 성기의 세계
3) 미륵보살과 선재동자의 만남
4) 비로자나 장엄장 누각과 불망념지 해탈문
- 출정탄지出定彈指
1) 미륵 탄지와 한국 불교사
— 손가락 이라는 상징적 화두
— 금동 미륵보살 반가 사유상의 비밀
— 한국의 선재 진표율사의 간자 두 쪽
2) 미륵삼부경과 《화엄경》 <입법계품>의 미륵 비교
- 화엄 법계와 증입
- 절미截尾:게송偈頌
— 일승법계도송一乘法界圖頌
— 참변산반도불사의방 진표찬
— 입법계품入法界品 약지略旨
제8장 | 동서 문명의 회통 시대
동아시아의 불교와 미주·유럽의 기독교의 만남
【中文】 东西文明的 会通时代
东 亚佛教和美洲·欧洲基督教的相遇
제9장 | 탄허선사 <간산필첩>의 탈초와 역주
- 서緖:탄허의 20세 유묵
- 해제:탄허와 <간산필첩艮山筆牒>
- <간산필첩>의 탈초脫草와 역주譯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