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찰에서 만나는 주련

주련(柱聯)은 영련(楹聯)이라고도 한다. 여기서 주(柱)와 영(楹)은 기둥을 나타낸다. 그리고 연(聯)은 ‘연이어’라는 표현으로 판자에 글을 써서 새김을 하여 걸어 놓은 것을 말한다. 이러한 주련의 내용은 건물의 주제에 맞게 그 내용을 시로 나타내어 찬탄하여 더욱더 그 의미를 고양하기도 한다. 대부분의 주련은 훈계나 격려 또는 경책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주련의 바탕이 되는 판자의 아래로는 연잎이나 연꽃, 당초(唐草) 문양 등을 새겨 장식하여 주련의 문장이 경직된 문구라면 이를 좀 더 완화하고, 흥부(興賦)하는 문구라면 더욱더 이를 북돋우기도 한다.
주련도 엄연히 삼보에 대비하여 본다면 법보에 해당한다. 주련의 내용이 부처님의 가르침을 인용하거나 삼보를 찬탄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주련은 그 전각에 따라서 봉안된 주존(主尊)을 찬탄하는 내용을 경전에서 인용하거나 아니면 시문을 지어 탄백(歎白)하는 내용으로 대개 이루어져 있으나, 오늘날 사찰의 주련은 찬탄이나 경책 등이 주류다. 세월의 흐름 따라 한자의 교육을 받지 못한 세대에게는 그냥 곁눈질하듯 지나가기에 그 기능을 상실한 지가 이미 오래라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뭐든지 사랑받지 못하면 관심에서 멀어지고 먼 산 쳐다보듯이 도외시되기 마련이다.

주련도 부처님의 말씀을 전하는 하나의 방편이기에 이를 적절히 활용한다면 포교에 큰 역할을 할 것이다.


법상 스님은 사찰에 무심히 걸려 있는 주련을 찾아 직접 발로 전국의 사찰을 순례하고 사진을 기록으로 났다. 문학연대 출간에 앞서 자비를 들여 비매품으로 [사찰에서 만나는 주련]을 출간한 바 있다. 하지만 양껏 부처님의 말씀이 담긴 주련의 내용을 많은 불자들이 알아가기를 바라는 지극한 마음에서 다시 한번 정식 출간을 결정하였고, 이번에는 대중들에게 더 적극적으로 [주련]의 참뜻을 알릴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

오랫동안 [주련]을 공부하지 않고서는 어느 사찰에서나 볼 수 있는 [주련]의 참뜻을 알기가 쉽지 않다. 특히 현대 사회를 살고 있는 젊은이들은 한자 교육에서 자유로운 만큼 여러 의미를 담고 있는 한자로 구성된 주련의 내용을 알기란 결코 쉽지 않다. 그런 점에서 [사찰에서 만나는 주련]은 한자를 알지 못하는 젊은층의 대중들에게도 유익한 포교의 수단이 될 것이다.

본래 부처님의 말씀이 기록된 경을 비롯해 많은 조사들이 전하는 말씀을 가져와 주련으로 삼지만, 그 뿌리가 어디인지 모른다. 법상 스님은 [사찰에서 만나는 주련]을 통해 불과 몇 줄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주련의 출처와 상세한 설명을 덧붙여 설명하였다.

[주련]을 처음 접하는 일반 독자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만큼 상세하게 풀어놓았다. 국내에 나와 있는 [주련]에 관련한 제대로 된 도서가 없는 현실에서 보면 이번 법상 스님의 [사찰에서 만나는 주련]이 부처님께서 전하는 법의 정수를 공부하는 데 ...초석이 되어 줄 것이다.

 

바로구매 : https://www.jbbook.co.kr/9791166300912.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