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0년 한국불교 역사에서 비구니승가는 특유의 역동성과 강한 생명력으로 한국불교에서 단단하게 한 축을 담당해왔다. 불교를 믿는 여타 다른 나라들이 많이 있지만 이처럼 긴 시간 속에서 전통과 역사가 잘 유지되고 조직력을 갖춘 곳은 한국 비구니승가 외에 찾아보기는 어렵다.
그러나 막상 한국 비구니 승가의 위상과 역사성에 대한 자료를 찾기 시작하면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게 된다. 몇몇 책들이 비구니 사(史)에 대하여 다루고 있지만, 《역사 속 한국 비구니》처럼 삼국시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문헌을 바탕으로 철저하게 밝히고 있는 것은 이 책이 유일하다고 해도 조금도 과언이 아니다.
《역사 속 한국 비구니》는 40여 종이 넘는 고문헌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역사 속에 기록된 비구니스님에 대한 모든 자료를 찾아 서술한 책이다.
비구 중심의 한국불교사 속에서 비구니 스님들의 존재와 역할, 위상을 추상적으로 서술한 것이 아니고, 역사적 문헌과 자료를 동원히여 정립한 놀라운 책이다. 물론 근현대 문중 중심의 비구니스 님에 관한 책은 몇 권 있었지만, 불교가 시작된 삼국시대부터 문헌 속 비구니 스님들의 존재에 대한 모든 자료를 찾고, 아주 촘촘히 조사한 책은 이 책이 처음이라고 단언한다.
특히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자료를 찾고 모으고, 또 향후 비구니사를 연구하고자 하는 연구자를 위하여 1차 자료, 한문 자료를 모두 책 뒤에 첨부한 것 역시 높게 평가해야 한다. 또 이 책은 고문헌을 찾아내고 취급하고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많은 안목과 힌트를 주고 있는 책이다.
이 책을 기획한 한국비구니승가연구소와 5년 동안 이 책을 집필한 전영숙 선생은 중국문화사를 전공한 학자로 섬세한 문화사적 자료 조사 후 해석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간 조사했던 참고문헌을 밝혀 후대에 비구니승가에 대해 연구할 학자들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마련해 주었다.
이 책은 총 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제1장 〈삼국시대〉에서는 신라에 불교를 전한 아도스님의 뒤에서 모친 고도녕이 바친 불법에 대한 애정과 노력과 열정, 신라의 첫 여성출가자가 남성이 아닌 여성이었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또한, 멀리 일본 땅의 첫 여성출가자들을 백제에서 교육시키고 계맥을 전해 준 여성출가자들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제2장 〈고려시대〉에서는 불교가 국가불교가 된 후 정부 주도의 계단사원과 승과제 운영으로 말미암아 비구니들이 교단 운영의 중심에서 설 자리가 약화된 점을 말하고 있다. 또한 탱화 복원, 직조 기술 등 다양한 기술을 보유한 비구니스님들과 지공 선사와 나옹 화상 등을 도와 한국 선불교의 오늘이 있게 하는 데 소리 없이 큰 역할을 한 해외 비구니의 활약을 고찰했다.
제3장 〈조선시대〉에서는 숭유억불의 암흑기를 맞아 비구니와 여성 불자들이 불교를 지켜내기 위해 얼마나 많은 노력했는지에 대하여 연구했다. 조선 전기에는 왕실 출신의 여성 출가자와 여성 재가자들이 혼신의 힘으로 불교를 지켜내는 데 일조했다. 그리고 후기에는 지방의 비구니들이 목숨을 걸고 시위를 하고, 평범한 여성들과 상궁 출신의 여성들도 지극한 신심으로 불교를 지켜내는 데에 큰 역할을 하였다.
조선시대에도 걸출한 비구니들이 여럿 나왔는데, 백성으로부터 생불이라 칭송되고 비구니승가로부터 진정한 스승으로 존경 받았던 사실(師室) 스님이 그 대표적 예이다.
제4장 〈개항기에서 한국전쟁 이전〉에는 서울과 지방에서 각각 불교를 지켜내고 목숨 바쳐 수행에 임한 여러 비구니스님들을 조명했다. 이 시기에 한양에서는 사승방을 중심으로 비구니스님들이 활약했는데, 특히 친일 권승 강대련의 행위에 끝까지 저항하며 절을 지켜낸 탑골 보문사의 은영스님을 주목할 만하다.
이 외에 국채보상운동과 독립운동에 참여한 많은 비구니스님들, 금강산과 수덕사 견성암, 오대산 지장암, 윤필암 등을 중심으로 치열하게 수행한 비구니 선객들,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뛰어난 교학적 능력을 갖추고 활약한 금룡, 수옥, 혜옥 세 비구니 강백도 주목해야 할 것이다. 또한 비구니 봉려관스님이 수백년 간 불교 명맥이 끊어졌던 제주도에 불교를 중흥시켰다.
제5장 〈한국전쟁기부터 전국비구니회관 건립 이전〉에서는 바야흐로 비약적으로 성장하는 비구니승가의 황금시대를 종합적으로 다루었다.
제6장 〈미래로 나아가는 한국 비구니 승가〉에서는 우담바라회가 전국비구니회로 거듭난 후 전국비구니회관이 건립된 과정을 살펴보고, 비구니회관 건립 후 비구니승가가 어떻게 또 한번의 비약적인 도약을 이루었는지를 고찰했다. 아울러 이러한 과정에서 비구니승단 내부의 민주화
와 소통을 요구하는 ‘정혜도량’과 ‘열린비구니모임’의 활동을 밝히고 있다.
이 책, 《역사 속 한국 비구니》는 한국 비구니승가의 위상과 역할, 그리고 그 존재와 역사를 밝힌 책이다. 추상적 고찰이나 연구가 아니고, 역사적 문헌을 바탕으로 밝힌 책이다. 근래 불교 학술서 중에서도 특필해야 할 책이라고 생각한다. 그간 비구니승가가 한국불교 발전을 위해 해왔던 일을 생각한다면 너무 늦은 감이 없지 않지만 이 책은 한국 비구니승가의 이정표가 될 것이다.
◉ 한국비구니승가연구소
한국비구니승가연구소는 대한불교조계종 전국비구니회 산하 연구 기관으로 서울 강남구 수서동 전국비구니회관 2층에 위치하고 있다. 제12대 전국비구니회 회장을 역임한 본각 스님의 한국비구니연구소와 전국비구니회 한국비구니승가연구소를 합병하여 2020년부터 활동을 시작했다.
한국비구니승가연구소는 역사 속에 묻혀 있는 우리나라 비구니스님들의 자료를 발굴·정리하고 문화콘텐츠화하는 일을 해오고 있다. 그동안 ‘비구니 인물사전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뮤지컬 ‘비구니스님들의 독립운동 이야기’ 공연 등을 진행했다.
◉ 집필자 전영숙(田英淑)
연세대학교 중문학 박사. 순천향대학교, 북경연합대학교, 대만사범대학교 등에서 근무하였
다. 현 연세대학교 중국연구원 전문연구원, 한국비구니승가연구소 책임연구원.
저서로 『다문화사회교육론』(공저, 양서원, 2016), 『아시아의 이해』(공저, 양서원, 2015), 『중국문화의 이해』(공저, 학고방, 2000) 등이 있다. 역서로 중국 근대 4대 고승 홍일(弘一) 스님의 법문집 『그저 인간이 되고 싶었다』 (불광출판사, 2014), 『돌의 미학 전각』(학고방, 2011), 『韓國電影一百年』(한국영화 100년, 중국어 번역, 북경 電影出版社, 2013) 등이 있다.
대표 논문으로는 「조선초 불경언해와 여성불자의 참여」(선문화연구, 2022), 「소금장수와 여우 잡은 작대기 설화 연구」(한어문교육, 2014) 등이 있다.
- 발간사
- 머리말
제1장 삼국시대
- 불교 전래 과정에서 여성의 공헌
- 국제무대에서 삼국 비구니의 활동
- 삼국시대 비구니의 수행과 교육
- 신라 재가여성불자의 신앙생활
제2장 고려시대
- 비구니승단의 규모
- 수계와 계율 수지
- 고려시대 비구니 인물
- 다양한 분야의 기술력 보유한 고려시대 비구니
- 재가여성불자의 신앙생활
제3장 조선시대
- 조선시대 비구니사찰의 풍경
- 여성 출가의 요건
- 비구니의 수계와 활동
- 불경 언해 및 훈민정음 활용에 끼친 여성의 공헌
- 조선시대 비구니 인물
- 억불시대 불교를 지켜낸 무명의 비구니들
제4장 개항기에서 한국전쟁 이전
- 열악한 환경을 공부의 밑천으로
- 20세기 초·중기 전국의 비구니사찰
- 국채보상운동과 독립운동에 참여한 비구니
- 배움에 대한 갈망과 초기의 비구니강원
- 비구니선객과 초기의 선수행 공동체
제5장 한국전쟁부터 전국비구니회관 건립 이전
- 한국전쟁과 불교정화운동
- 눈부시게 성장하는 비구니공동체
- 늘어나는 비구니강원과 비구니강사의 활약
- 비구니선원과 비구니선객의 황금시대
- 비구니율원 건립과 비구니율사의 탄생
제6장 미래로 나아가는 한국비구니승가
- 비구니의 조직화와 전국비구니회관 건립
- 민주와 평등의 공동체 실현을 위한 다양한 목소리
- 한국비구니에 관한 자료 축적과 학문적 연구의 시동
- 변화하는 시대, 변화를 이끄는 비구니의 다양한 활동
- 샤카디타 세계대회와 국제간 연대
- 미래로 나아가는 한국비구니승가
- 찾아보기
- 참고자료
발행일 | 2024. 12. 19. |
---|
Q1 주문결제 후 주문 취소시 환불은 어떻게 하나요?
신용카드 환불
고객님의 신용카드로 결제 후, 부분적인 주문취소 시에는 취소금액을 제외한 금액만큼 신용카드 재승인을 하셔야 주문이 정상 처리됩니다.
은행입금(무통장) 환불
고객님이 은행으로 입금하신 후, 환불 사유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1:1 문의를 이용해서 환급받을 계좌를 입력한 후 고객센터로 문의하시면 됩니다.
환급은 근무일 기준 다음날 오후에 환급 됩니다.
Q2 반품완료 후 어떻게 환불 받을 수 있나요?
반품 완료 시점은 반품 요청하신 상품을 택배 기사를 통해 맞교환 하거나 직접 반송처리하셔서 물류센터로 도착되어 확인하는 시점을 의미합니다.
고객님께서 반품한 상품을 확인한 즉시 반품예정이 확인되어 완료 처리가 됩니다.
이때 고객님께 반품완료 메일로 안내해 드리며, 이는 '마이페이지>주문내역'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신용카드
전체 반품의 환불일 경우 반품 확정된 다음날로부터 일주일 이내 해당 카드사로 취소확인이 가능합니다.
부분 반품의 환불일 경우
취소금액을 제외한 금액만큼 신용카드 재승인을 하셔야 주문이 정상 처리 됩니다.
2. 계좌이체, 무통장입금
전체 반품, 반품 상품의 환불 모두 반품 완료 되어진 날 환불 처리되는 것이 원칙입니다.
통장 환불처리는 환불 요청 후 업무기준일
다음 날 오후 6시 이후로 해당 계좌로 입금됩니다.
Q3 적립금 환불은 어떻게 하나요?
반품완료시점에서 적립금으로 바로 환불 처리 됩니다.
-
Icon
우체국배송
배송관련
-
Icon
30,000원이상 무료배송
주문관련
-
Icon
30일 이내
환불관련
-
Icon
안전한 결제
결제관련